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신착자료

신착자료

기증도서

북한이탈주민의 종교경험

Religious experiences of North Korean refugees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형태사항
xv, 276 p. :. 도표 ;. 24 cm
총서사항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
ISBN
9788952117533
청구기호
215.82139 이57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577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577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공산주의자가 기독교인이 될 수 있을까?

북한 사회는 종교를 마약과 같은 일시적 위안을 주는 것이라면서 일체의 종교 행동을 금지했다. 따라서 개인은 현재까지의 삶에서 종교를 접촉한 경험이 전혀 없을 것이다. 이처럼 종교가 부재한 사회에서도 북한주민이 절대자를 찾고 신앙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 그리고 그 회심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것이며, 그 회심에서 발견되는 절대자에 대한 종교적 인식이 기존의 도식적 인식체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학문적 호기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북한 사회가 종교를 부정하는 사회주의 이념을 어떻게 유지하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 북한주민의 종교성이 일상생활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함과 동시에 북한이탈주민들의 종교와 관련된 경험을 보다 상세히 알아보려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북한의 종교정책을 파악하고, 북한 사회의 종교성 실체, 종교가 북한 사회의 변화와 관련되는 지점을 찾으려 시도했다.
북한이탈주민들의 탈북과정과 남한 정착과정에서 종교 및 종교단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 과정에서 종교관과 종교성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종교적 신념이나 경험이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적응이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

공산주의자로 성장한 사람들이 개신교를 큰 저항 없이 수용한다는 사실. 공산주의자가 개신교를 접하여 심각한 내면의 혼란과 갈등을 겪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른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책은 공산주의와 종교라는 상반된 이념 속에서 생존의 위기를 겪은 인간이 어떻게 자아를 변화시켜 왔는지, 아니면 어떻게 자아의 항상성을 유지해 왔는지를 고민해 본 결과물이다. 나아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과정에서 종교가 발휘하는 역할과 영향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종교가 앞으로 어떤 기능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목차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를 내면서 - v
머리말 - vii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3. 연구방법 - 6
1) 질적 조사 - 6
2) 양적 조사 - 12

제2장 종교와 북한 사회

1. 종교와 종교 인식 - 25
2. 북한의 종교 역사와 현황 - 28
1) 북한 종교의 변천 과정 - 28
2) 북한의 종교별 현황 - 28
3) 북한 종교단체의 국내외 교류 - 36
3. 북한 사회에서의 종교정책 - 40
1) 해방 후 북한체제의 정립 - 40
2) 북한 사회에서의 종교정책 변화 - 43
4. 북한의 종교와 주체사상 - 47
1) 김일성의 종교에 대한 인식 - 47
2) 주체사상의 형성 - 51
3) 주체사상의 종교적 속성 - 53

제3장 북한이탈주민의 종교경험

1. 북한이탈 전 종교경험 - 59
1) 북한주민의 의식과 가치관 - 59
2) 북한 내에서의 종교경험 - 62
2. 탈북과정에서의 종교경험 - 80
1) 탈북 경로와 현황 - 80
2) 탈북 결심 - 82
3) 탈북과정과 종교적 체험 - 88
3. 남한 정착 이후의 종교경험 - 105
1) 하나원 생활과 종교 - 105
2) 북한이탈주민으로서의 제2의 삶과 종교 - 126
4. 정신건강과 사회 적응 - 142

제4장 북한이탈주민의 종교생활

1. 북한이탈주민의 종교와 이념의 갈등 - 153
1) 종교의 이해와 종교 수용 또는 거부 - 153
2) 종교 수용의 어려움과 용이성 - 158
2. 북한이탈주민의 종교생활에서의 갈등 - 165
1) 종교 수용에서의 내면적 갈등 - 165
2) 종교생활과 종교적 실천에서의 갈등 - 169
3) 종교공동체에서의 관계적 갈등 - 176
3. 북한이탈주민의 신앙 유형 - 180

제5장 북한이탈주민과 종교의 영향

1. 북한이탈주민의 종교생활 및 종교성 실태 - 185
1) 종교 유무 및 참여 정도 - 185
2) 종교 교리 이해도와 종교 선호성 - 191
3) 종교의 기능과 외현적·내재적 종교 성향 - 194
2. 북한이탈주민의 종교와 정신건강 - 197
1) 정신건강 - 197
2) 정신건강 문제 - 202
3) 탈북 후 긍정적 변화와 부정적 변화 - 205
3. 북한이탈주민의 종교와 사회 적응 - 208
1) 북한 지향성과 남한 지향성 - 208
2) 남한 생활 적응 - 211
3) 남한 생활 만족도 - 218

제6장 종교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1. 북한이탈주민과 종교의 역할 - 224
1) 탈북과정에서의 종교 역할 - 224
2) 정착과정에서의 종교 역할 - 233
2. 대북 선교와 사회통합에의 기여 - 247
1) 대북 교류와 선교 - 247
2) 다문화 사회에서의 사회통합과 종교의 역할 - 253

참고문헌 - 263
찾아보기 - 271
Abstract -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