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신착자료

신착자료

단행본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

발행사항
서울 : 명인문화사, 2018
형태사항
296 p. ; 23 cm
ISBN
9791161930114
청구기호
340.911 전67ㅇ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78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78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2018년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관계 개선 및 한반도 평화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드높다. 특히 진정한 평화로 나아가려면 정체경제 등 제도적인 분야를 넘어 사람과 사람사이의 평화가 절실하다.
이 책은 한반도 평화와 공존을 향해 ‘용서와 화해’의 시각으로 접근한다. 용서와 화해에 대한 사회적인 개념을 짚어보는 동시에 다양한 시각에서 용서와 화해의 적용을 살핀다.

총 8개의 챕터를 2개의 부로 나눈 이 책은 제1부에서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을 다룬다. 용서의 개념요소와 의미를 구체화하고 개인적 영역을 넘어서 공적, 정치적 영역으로까지 지평을 넓히면서 화해로 가는 네 가지 유형을 제시한다. 또한 한반도에 시사하는 바가 큰 남아공 진실화해위원회 사례를 다루면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용서와 화해의 구현에 대해 모색하였다. 나아가 문학과 영화를 통해 용서와 화해의 본질에 대해 통찰해볼 수 있게 하고, 별도의 논문으로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방인과 그리스도 안에서 화목을 이루어야 할 그리스도인들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설명한다.

제2부에서는 한반도에서 나타날 용서와 화해에 대해 다룬다. 다양한 맥락으로 화해의 유형을 나누고 오늘날 필요한 화해의 역량을 소개한다. 현재 과도기 정의에 있는 한반도에서 용서와 화해가 이뤄질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고, 북한에서의 용서와 화해의 문제까지 다양한 각도에서 이 주제를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평화적 통일을 위해 기독교적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과 교회와 그리스도인과 국가적, 사회적 차원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책은 현재 남북교류의 재개와 한반도의 역동적인 정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의 역사를 위한 용서와 화해의 성찰을 이해함에 있어 다양한 관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018년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관계 개선 및 한반도 평화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드높다. 특히 진정한 평화로 나아가려면 정체경제 등 제도적인 분야를 넘어 사람과 사람사이의 평화가 절실하다.
이 책은 한반도 평화와 공존을 향해 '용서와 화해'의 시각으로 접근한다. 용서와 화해에 대한 사회적인 개념을 짚어보는 동시에 다양한 시각에서 용서와 화해의 적용을 살핀다.

총 8개의 챕터를 2개의 부로 나눈 이 책은 제1부에서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을 다룬다. 용서의 개념요소와 의미를 구체화하고 개인적 영역을 넘어서 공적, 정치적 영역으로까지 지평을 넓히면서 화해로 가는 네 가지 유형을 제시한다. 또한 한반도에 시사하는 바가 큰 남아공 진실화해위원회 사례를 다루면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용서와 화해의 구현에 대해 모색하였다. 나아가 문학과 영화를 통해 용서와 화해의 본질에 대해 통찰해볼 수 있게 하고, 별도의 논문으로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방인과 그리스도 안에서 화목을 이루어야 할 그리스도인들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설명한다.

제2부에서는 한반도에서 나타날 용서와 화해에 대해 다룬다. 다양한 맥락으로 화해의 유형을 나누고 오늘날 필요한 화해의 역량을 소개한다. 현재 과도기 정의에 있는 한반도에서 용서와 화해가 이뤄질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고, 북한에서의 용서와 화해의 문제까지 다양한 각도에서 이 주제를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평화적 통일을 위해 기독교적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과 교회와 그리스도인과 국가적, 사회적 차원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책은 현재 남북교류의 재개와 한반도의 역동적인 정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의 역사를 위한 용서와 화해의 성찰을 이해함에 있어 다양한 관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대표편저자 _ 전우택 연세대학교 의학과 졸업 (의학)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정신의학)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정신의학)

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의학교육학교실, 정신과학교실, 인문사회의학교실)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장
한국자살예방협회 이사장
한국의학교육학회 부회장

공동저자
_ 박명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문학박사 (사회학)

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한반도평화연구원 연구위원

_ 김회권 서울대 인문대 영어영문학과 졸업
장로회신학대학원 교역학 석사, 신학석사
프린스턴신학대학원 신학석사, 성서학 박사

현 숭실대학교 인문대 기독교학과 교수
한국구약학회 부회장
한반도평화연구원 연구위원
기독경영연구원 연구위원

_ 이해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사법연수원 수료

현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공공데이터제공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
한국저작권위원회 위원
한반도평화연구원 부원장

_심혜영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문학 박사

현 성결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한반도평화연구원 연구위원

_ 박종운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현 법무법인 하민 변호사(사법연수원 29기 수료)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빙교수
한반도평화연구원 연구위원
대한변호사협회 생명존중재난안전특별위원회 부위원장
서울지방변호사회 인권위원회 위원장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회 안전정책분과 위원
(사)한국기독교화해중재원 조정위원 겸 중재인

_ 조정현 고려대학교 독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법학 석사(국제법)
아메리칸대학교 법학 석사(국제법)
에딘버러대학교 법학 박사(국제법)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한반도평화연구원 연구위원
법무부 법무자문위원, 통일부 통일법제추진위원, 민주평통 자문위원
통일부 북한인권조사 자문위원, 국가인권위원회 북한인권포럼 위원

_김경숙 북한 자동화 단과대학 졸업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역학 석사
연세대학교 상담 코칭학 박사

현 한동대학교 통일과평화연구소 객원연구원
목차

발간사
권두언
서문
1부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
1장 용서와 화해, 그 불가능에서 가능성으로 가는 길
1. 용서란 무엇인가?
1) 서언
2) 용서의 개념요소들
3) 용서가 아닌 것들
4) 결어: 무조건적 용서를 위한 일차적 변호
2. 용서를 가능하게 하는 내적인 노력들
1) 서언
2) 아가페/인간존중의 확고한 지향: 무조건적 용서에 부합하는 신념의 확립
3) 지혜로운 자기배려의 선택
4) 선악(善惡)의 행위와 그 행위자의 구별
5) 정의에 대한, 그리고 정의와 용서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
6) 내재적 자존감과 겸손의 미덕
7) 인류 연대의식과 ‘인간에 대한 용서’
8) 큰 그림 보기: 기억과 희망의 힘
9) 이해(理解)의 노력
10) 공감의 노력
11) 감사와 궁극적 긍정의 태도
3. 공적 영역에서의 용서(정치적 용서)에 대하여
1) 공적 영역에서도 용서를 필요로 하는 이유
2) 공적 영역에서의 용서가 가진 차이점과 고려요소들
4. 용서를 넘어 화해로 가는 길
1) 서설
2) 첫째 유형: 나의 용서로 화해가 가능한 경우
3) 둘째 유형: 내가 용서할 수는 있지만 화해는 불가능한 경우
4) 셋째 유형: 내가 가해자인 경우
5) 넷째 유형: 서로가 피해자인 경우
5. 결론
2장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만난 용서와 화해: 진실화해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1. 서론
2. 용서와 화해를 위한 활동의 구성 요소들
1) 왜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었는가?: 정의와 용서에 대한 새로운 시각
2) 누구에 의하여 이런 일들이 진행되었는가?: 이 일을 해 나간 사람들의 특징
3) 어떻게 이 일을 진행하였는가?: 현실주의적 접근 방법
4) 이 과정을 통하여 무엇이 이루어졌는가?: 치유와 성장
5) 위원회 일을 해 나간 사람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었나?: 자기 내면의 관리
3. 결론: 용서와 화해로서의 한반도 통일을 향하여
3장 문학과 영화를 통해 생각해보는 용서와 화해
1. 용서와 화해를 말할 수 있는가: 이청준의 <벌레이야기>와 영화 <밀양>
2. 실존적 요청으로서의 신, 용서와 화해: 김은국의 『순교자』
3. 영화를 통해 생각해보는 용서와 화해
4. <나의 사랑 그리스>: 두 번째 기회, 새로운 관계의 시작
5. <내 사랑>: 무엇이 용서를 가능하게 하는가
6. 영화 <프란츠>: 삶은 행복하게 계속되어야 한다
7. 남은 단상
4장 예언자들의 회복적 정의와 사회적 치유 사상에 나타난 용서와 화해
1. 서론
2. 주전 8세기 예언자들의 중심과제와 신학적 고투
3. 8세기 예언자들 공통 메시지와 개별적 특징1)
4. 예언자들의 회복적 정의, 치드코트 아도나이
5. 이스라엘과 온 인류에게 전가되고 요구되는 의(義)
6. 사회적 치유자로서 예언자들의 사역을 이어받은 왕같은 제사장들의 공동체, 교회
7. 결론: 우리 겨레의 화해와 용서 시대를 여는 향도로서의 교회
2부 한반도에서의 용서와 화해
5장 평화와 화해: 책임정치와 심정윤리의 간극
1. 평화와 화해
2. 한국사회와 화해논의
1) 네 개의 맥락
2) 화해의 세 유형
3) 동력과 긴장
3. 화해의 역량구축
1) 책임정치와 심정윤리의 균형
2) 문화적 관용과 생활 민주주의
4. 어디에서 출발할 것인가?
6장 한반도 통일과 과도기 정의
1. 서론: 과도기 정의와 한반도
2. 과도기 정의의 형태/방법
1) 형사처벌
2) 진실 규명
3) 피해자 구제
4) 기관 개혁
3. 한반도에 있어서 과도기 정의
1) 국제범죄자에 대한 형사처벌
2) 진실화해위원회 설치
3) 피해자 구제 조치
4) 공직 참여 배제 범위 설정
4. 결론
[부록] 과도기 정의 관련 사례 검토: 남아프리카공화국 및 캄보디아
7장 북한에서의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
1. 서론
2. 북한체제하에 용서라는 가치가 존재하는가?
1) 북한에서의 용서의 개념
2) 정치적 전환기마다 활용되었던 정치적 용서의 상황과 실제
3. 왜 북한체제가 용서 불가능한 사회여야만 했는가?
1) 사회화 과정: 수령에 대한 신격화와 혁명적 세계관 확립
2) 사회화 과정: 집단적 적개심, 복수심 내재화
3) 사회화의 결과: 개인의 내면적 상처로 인한 용서능력 저하상태
4. 통일 후 북한사회 치유를 위해 요청되는 용서의 내용들
1) 누가 누구를 용서할 것인가?: 피해자와 가해자의 복합성 문제
2) 정치적 공간에서 과거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진실규명, 명예회복, 배보상의 문제
3) 대인 관계적 용서
5. 북한 사회에서 용서 가능성을 위한 촉진요인들
1) 트라우마의 치유
2) 인간실존의 불완전성에 대한 인정
3) 모든 존재는 존엄하다는 인간존중-인간사랑에 대한 지향성
4) 정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인식
5) 한국사회에서 이루어졌던 진실규명과 용서 화해를 위한 노력들
6) 종교와 기독교 영성적 자원
6. 결론
8장 한국 교회 내에서의 회복적 정의와 화해
1. 서론
2. 교회적 차원의 노력
1) 한국 교회의 갈등과 분쟁, 분열
2) 분쟁의 순기능과 역기능
3) 한국 교회 분쟁의 근본적인 원인
4) 분쟁 해결의 방법
5) 한국 교회의 개혁 및 분쟁 해결을 위한 노력
6) 한국기독교화해중재원의 현황과 평가
7) 갈등과 분쟁 속에서도 역사하시는 하나님: 피스메이커로서의 그리스도인, 기독법률가
3. 국가적, 사회적 차원의 노력
1) 용서와 화해 관련 법 규범
2)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17)
3) 회복적 정의의 응용
4. 결론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