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연구원발간물

연구원발간물

단행본

한반도 평화와 개성공단의 미래

발행사항
서울 :,앨피,,2021
형태사항
294 p. : 23 cm
ISBN
9791190901352
청구기호
322.8311 백69ㅎ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893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893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개성공단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공간적 · 포스트영토주의적 관점의 접목

‘경협의 공간/위기의 공간’의 이분법적 관점을 넘어

개성공단을 다루는 기존의 연구는 ‘한반도’라는 규범적 공간 인식론을 남북경제협력의 목표 달성과 긴장 완화 실현의 전제로 상정하였다. 따라서 ‘경협의 도구화/위기의 가시화’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분리되어 연구가 이루어졌고, 경제.정치적 상황이 변화할 때마다 개성공단에 대한 해석이 극명하게 나뉘었다.
이 책은 ‘예외공간’, ‘관계적 공간’, ‘접촉지대’ 등 근대적 영토성을 넘어서는 포스트영토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개성공단이 남북 공동의 경제 공간으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다양한 측면에서 추적하였다.
진화 공간으로서 개성공단을 바라보는 관점은 개성공단의 공간적 정체성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 경제적인 공간과 정치적인 공간이 공진화한다는 점, 두 체제가 접촉하면서 변용을 수용하는 예측 가능하지 않은 공간이 형성된다는 점, 적대에서 협력·공존으로 변화가 가능함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주요 내용

이 책은 크게 개성공단과 ‘한반도 평화지대 구축’, ‘개성공단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함의’, 두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남북 경제공동체와 평화경제협력지대 구상>은 개성공단을 중심으로 하는 DMZ와 남북 접경 배후도시를 적극 활용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하며, <실체적 평화를 이끄는 접경지역 국제평화지대화>는 접경지역을 포함한 특정 공간에서의 접촉 확대가 한반도 평화를 이끄는 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개성공단의 협력 거버넌스>는 개성공단에서 최초로 남북이 함께 만든 거버넌스인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추후 이루어질 남북협력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준다.
<젠더화된 노동공간으로서 개성공단>은 서구에서 제기된 제3세계 경제특구 여성노동자의 희생자 담론에 대해 개성공단이 갖는 차별성에 주목하였으며, <‘고도古都’ 개성 경관의 형성과 발전 방향>은 개성이 역사도시·관광도시로 성장할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개성 지역의 역사성이 주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해야 함을 제언한다. <접촉지대로서 개성공단의 공간적 특성 분석>은 개성공단이 한반도의 지리·역사적 주요 결절지역이었던 입지적 특성을 이어받아 남북경협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 점, 상호 간의 공간적 사고가 전달 · 수용되는 과정이 반복될 때 평화적 가치를 공유하는 기회가 증진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으로 본 개성공단>은 개성공단 주변 일대에서 운영된 ‘통근버스’가 새로운 모빌리티 시스템으로 작동하면서 새로운 사회-공간을 생산하는 네트워크 자본으로 전환되는 사례를 탐색하였다.
목차

서론: 개성공단 연구 동향과 포스트영토주의 관점의 접목 가능성 ┃백일순┃
개성공단에 대한 남북한의 동상이몽
개성공단 연구의 시기별 동향
개성공단 연구의 두 축: 경협의 도구화와 위기의 가시화
개성공단 연구의 한계와 포스트영토주의 접근의 접목
각 장 소개

1부 개성공단과 한반도 평화지대 구축

남북 경제공동체와 평화경제협력지대 구상 ┃정유석┃
들어가며
평화지대에 관한 논의 경과
평화경제협력지대 비전과 목표
평화경제협력지대 구상과 단계별 추진 전략
맺음말

실체적 평화를 이끄는 접경지역 국제평화지대화 ┃박은주┃
들어가며
평화 논의의 역사와 한반도 평화
접경지역 국제평화지대화의 의미
국경 다공화에 기반한 접경 협력 체계 구축의 필요성
해외 분쟁지역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향후 과제

개성공단의 협력 거버넌스: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 설립을 중심으로 ┃ 홍승표┃
서론
초국적 협력과 거버넌스의 중요성
개성공단 개발사업 추진과 유지 관리를 위한 기관의 설립 과정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의 초국적 협력 거버넌스 역할
결론

2부 개성공단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함의

젠더화된 노동공간으로서 개성공단 ┃ 정현주┃
들어가며
개성공단과 노동의 젠더분업
경제특구 여성노동에 대한 담론
개성공단의 차별화된 노동환경
개성공단의 차별성이 시사하는 점

‘고도古都’ 개성 경관의 형성과 발전 방향 ┃ 박소영┃
서론
‘고도古都’ 개성의 경관
사회주의 지방도시, 주민 생활터전 개성
역사문화도시 개성의 발전 방향
결론

접촉지대로서 개성공단의 공간적 특성 분석 ┃ 백일순┃
들어가는 말
접촉지대로서의 접경지역
개성공단의 개발과 새로운 접촉지대의 형성
접촉지대에서 나타나는 개성공단의 이식경관
결론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으로 본 개성공단: 새로운 모빌리티스 시스템으로서 개성공업지구 통근버스가 만들어 낸 사회-공간 ┃백일순?정현주?홍승표┃
들어가며: 모빌리티로 개성공업지구 다시 읽기
모빌리티스 패러다임과 포스트영토주의 접목
통근버스를 통한 개성공단과 개성시의 공간적 변화
통근버스가 가져온 개성공업지구 근로자들의 모빌리티와 사회문화적 변화상
나가며: 남북경협의 미래지향적 관점으로서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의 유용성